2019. 11. 16. 17:31ㆍ강아지, 고양이에 대한 정보/접종 및 질병 예방
반려동물을 키우다보면 대부분 중성화에 대해서 고민을 할 것입니다.
당연히 해야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도 있고, 굳이 해야하나?
라고 생각을 하시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가장 먼저 할 일은 중성화에 대해서 아는 것 입니다.
무엇인지 알아야 좋고 나쁨을 알고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중성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성화 수술이란?
고양이의 생식기관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컷의 경우에는 고환을 제거하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라고 합니다.
암컷의 경우에는 난소와 자궁을 제거하는 어려운 수술이라고 합니다 때로는 난소만 제거를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수술 위험도는 어떤가요?
고양이 중성화 수술은 마취제를 사용하며 간단한 작업이라고 합니다.
수술을 한 후에는 진통제를 주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항염증제와 진통제를 처방해준다고 합니다.
수컷보다 암컷의 수술경과 기간이 조금 더 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중성화 수술은 언제하나요?
보통은 4~6개월쯤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수컷은 스프레이라는 영역표시를 하기 전후,
암컷은 발정난 소리를 내기 시작하기 전후라고 합니다.
중성화 수술은 어떻게 하나요?
병원을 방문에 수술일정을 잡고, 수술 전에 미리 검진을 하기위해 방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전날에는 고양이에게 금식을 해야하며 당일에는 물도 먹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그 다음은 병원에서 알아서 수술을 해주실 것입니다.
그런데 수술을 하지 않으면 뭐가 다른가요?
암컷의 경우에는 3주 간격으로 발정을 하게 됩니다.
(큰소리를 내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중성화를 한 고양이에 비해 6세쯤 유성종양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수컷의 경우에는 중성화를 한 고양이에 비해 공격성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로인해 다묘가정일 경우 싸움이 잦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영역표시를 위해 집안 여기저기에 스프레이 즉 소변을 뿌리고 다닙니다.
마지막으로는 원치않는 임신을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술 후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부분 빠르게 회복을 한다고 합니다.
수술 직후 몇시간 동안은 졸려하며 기운이 없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다음날이면 컨디션을 회복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유난히 조용하고 기운이 없어보인다면 병원 수의사에게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수술부위를 핥거나 긁지 않도록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성화를 한 후에는 과체중이 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러니 평소 급여량보다 조금 적게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고양이의 중성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중성화를 권장하고 하는 이유는 인구통제 그리고 발정으로 인한 문제입니다.
암컷의 경우에는 3-4주 간격으로 발정을 하기에 고양이에게도 그리고 묘주에게도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수컷의 경우에는 영역표시로 인해 묘주에세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묘 가정의 경우 원치않는 임신 혹은 싸움으로 인항 질병 감염의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저런 고민을 하시고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고,
모든 선택은 책임이 따릅니다.
책임을 질 수 있는 범위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강아지, 고양이에 대한 정보 > 접종 및 질병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에게도 위험한 강아지 광견병(공수병) 자세히 알아보자 (0) | 2019.11.11 |
---|---|
강아지 호흡기질환 켄넬코프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1.10 |
강아지에게 위험한 전염성 장염,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1.09 |
전염성이 높은 강아지의 감기, 파라 인플루엔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1.08 |
강아지에게 위협적인 바이러스, 파보 바이러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