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3. 10:05ㆍ강아지, 고양이에 대한 정보/접종 및 질병 예방
귀에는 외이, 내이, 중이가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부분은 외이로 고막까지 이어지는 관을 말합니다.
고양이가 가장 흔하게 생기는 귓병으로 외이에 염증이 났다하여 외이도염이라고 합니다.
외이도염이란?
외이가 박테리아나 효모에 의한 감염으로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진드기 입니다.
이밖에도 기생충, 알러지 그리고 귀에 물이 들어가 습한 환경에서 생기기도 합니다.
감염증상은 뭔가요?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귀를 간지러워하며 긁거나 흔드는 등의 행동을 하며, 귀에 검은색 귀지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귀가 붓거나 붉어지며 귀에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검은귀지면 진드기 아닌가요?
진드기가 아니여도 검은 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저희 양이의 경우에도 외이도염으로 진료를 받고 있으나 귀에 진드기는 없고 귀에 물이들어가 습한 환경에 의해 생긴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병원을 방문하여 검이경을 이용하여 귀 내부를 검사합니다.
검은 귀지, 염증의 양, 진드기의 여부 등을 확인하여 수의사가 판단을 합니다.
물론 이러한 검이경 검사만으로는 확진을 할 수 없고 귀 분비물을 면봉으로 채취하여 검사를 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고양이의 외이염의 경우 무수히 많은 원인이 있으며 일단
귀의 경우에는 알러지 반응이 시작하면 가장 먼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위로 귀의 환경을 변화시키기에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차 감염의 경우 박테리아나 효모에 의해 생기며 감염을 치료하더라고 근본적인 알러지를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을 하기 쉽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진드기가 있습니다.
진득가 귀를 긁어 세균 또는 효모에 의한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알러지, 호르몬 이상, 습한 환경에서 박테리아나 효모가 번식을 하여 외이염을 일으킬 확률을 높입니다.
그렇다면 치료는 어떻게하나요?
병원에서 검사 후 원인을 파악 후 박테리아아 효모에 대한 약물을 처방을 합니다.
박테리아인 경우에는 항생제를, 효모인 경우에는 항진균제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염증을 줄이기위해 덱사메타손, 코르티코이드(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귀진드기의 경우에는 국소 또는 전신 항기생충 약물을 사용합니다.
호르몬 이상이나 알러지의 경우에는 검사 및 면역 요법을 사용하며 글루코 코르티코이드 및 항히스타민을 사용합니다.
재발도 하나요?
고양이의 경우 강아지에 비해서 귀 감염에 강하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걸리고 재발을 하는 경우 진드기, 귀의 특이한 구조, 고양이의 면역 등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특이한 귀 구조의 경우 대표적인 것이 아메리칸 컬 입니다.
귀에 독특하게 연골이 있으며 구조상 귀가 좁으며 귀를 관리하기 특히 어렵습니다.)
제대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경우 감염은 치료가 가능합니다.
예방 방법은 없나요?
귀 내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귀 내부를 자주 확인을 하며 일주일에 한번 정도 귀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고양이 귓병 외이도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강아지, 고양이에 대한 정보 > 접종 및 질병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에게 위험한 간염 바이러스, 전염성 간염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1.06 |
---|---|
강아지에게도 위험한 홍역, 개홍역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9.11.05 |
매달 예방하는 심장사상충, 뭔지는 알고 제대로 예방하자!! (0) | 2019.10.24 |
고양이 눈병? 호흡기 감염, 클라미디아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10.20 |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파보 바이러스)의 증상과 위험한 이유는?? (0) | 2019.10.19 |